조선인민군 전략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선인민군 전략군은 조선인민군에 소속된 전략 미사일 부대이다. 1960년대부터 미사일 개발을 시작하여, 스커드, 노동, 무수단 등 다양한 탄도 미사일을 자체 개발하고, 핵무기 개발을 병행했다. 1990년대 후반 로켓 부대로 창설되어 2013년 전략군으로 확대 개편되었으며, 현재는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을 포함한 다양한 사거리의 미사일을 운용하며, 핵탄두 탑재 능력도 갖춘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북한은 이러한 군사력을 바탕으로 국제 사회와 대립하며, 비핵화 합의를 이행하지 않아 국제적인 비판을 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사령부 - 호위사령부
호위사령부는 김일성 호위를 위해 창설되어 김씨 일가의 안전을 담당하며, 9만 5천 명에서 12만 명 사이의 병력을 보유하고 김씨 일가 경호, 평양 방어, 주요 인사 감시 등의 임무를 수행한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사령부 - 평양방어사령부
평양방어사령부는 한국 전쟁 당시 평양시가 점령당한 것을 계기로 평양 방어를 위해 창설된 조선인민군의 사령부로, 수도와 국가, 조선로동당의 자산을 보호하는 임무를 수행하며 사령관은 대장 계급의 군인이 임명된다. - 전략군 - 프랑스 타격군
프랑스 타격군은 프랑스가 외부 위협으로부터 보호받고 NATO로부터 독립성을 유지하기 위해 구축한 핵전력 체계로, 핵 삼두 체제를 갖추고 가치 보복 전략과 '약자에서 강자로의 억제' 개념을 바탕으로 핵 공격 억제를 목표로 한다. - 전략군 - 사우디아라비아 왕립전략미사일군
사우디아라비아 왕립전략미사일군은 1986년 창설되어 4만 명 규모로 운영되며, 4,000km 사거리의 DF-3 미사일과 2,000km 사거리의 DF-21 미사일을 보유하고 있으며, 핵무기 획득 계획 발표 이후 역할이 확대되었고, 현재 미국 및 중국과의 협력을 통해 미사일 프로그램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조선인민군 전략군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명칭 | 조선인민군 전략군 |
원어 명칭 | 조선인민군 전략군 (朝鮮人民軍 戰略軍) |
이전 명칭 | 조선인민군 전략로케트군 (朝鮮人民軍 戰略로케트軍) |
영어 명칭 | Korean People's Army Strategic Force |
일본어 명칭 | 朝鮮人民軍戦略軍 (ちょうせんじんみんぐんせんりゃくぐん) |
약칭 | KPA Strategic Force |
![]() | |
![]() | |
군사 정보 | |
창설일 | 1999년 7월 3일 (공식 주장) |
소속 | 조선인민군 |
규모 | 13개 여단 |
역할 | 전략적 억제 |
종류 | 전략 미사일 부대 |
주둔지 | 성천군, 평안남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지휘 체계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군 |
지휘관 | |
사령관 | 김정길 상장 |
관련 정보 | |
상위 기관 | 조선인민군 총참모부 |
관련 사건 | |
핵 실험 | 북한 핵 실험 1998년 2006년 2009년 2013년 2016년 1월 2016년 9월 2017년 9월 |
미사일 발사 실험 | 미사일 발사 실험 1993년 1998년 2006년 2009년 2012년 4월 2012년 12월 2016년 2017년 8월 9월 11월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
무기 체계 | |
핵무기 | 북한 핵 문제 |
탄도 미사일 | 스커드 KN-02 노동 무수단 대포동 1호 대포동 2호 KN-08 북극성 1호 북극성 2호 화성 12 화성 14 화성 15 화성 17 화성 18 |
2. 역사
북한의 미사일 개발은 1960년대 소련으로부터 로켓포, 지대공 미사일(SAM), 대함 미사일 등을 도입하면서 시작되었고, 1970년대에는 중국으로부터 관련 기술을 이전받았다. 1965년경 소련이 탄도 미사일 공급을 거부하자, 북한은 자체적인 미사일 생산 능력 개발을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 이후 군사적, 산업적 준비가 시작되었고, 중국과 DF-61 미사일 공동 개발 프로그램을 1977년 시작했으나 중국 내부 사정으로 1978년 취소되었다.
1970년대 후반 또는 1980년대 초, 북한은 이집트로부터 R-17 엘브루스(스커드-B) 탄도 미사일을 도입했다. 이를 역설계하여 화성 5호를 개발했으며, 1984년 비행 시험을 시작했다. 1985년에는 이란에 화성 5호를 공급했고, 이란-이라크 전쟁의 도시 전쟁에서 사용되며 작전 데이터를 확보했다. 이 과정에서 여러 발사 실패를 겪기도 했으며, 1985년 이란과의 협력 협약을 통해 미사일 개발 자금을 지원받았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화성 5호는 1987년부터 양산에 들어갔다. 북한은 스커드 기술을 바탕으로 미사일 개발을 지속했으며, 1980년대 중반부터 1990년대 초까지는 소련과 러시아의 지원도 받았다.
화성 7호(노동) 미사일 개발은 1988년 또는 1989년에 시작되었다. 몇 차례의 시험 발사 후 1995년부터 실전 배치되기 시작했으며, 이란과 파키스탄은 화성 7호 기술을 기반으로 자체 미사일을 생산했다. 파키스탄의 가우리 미사일 시험 발사 데이터가 북한에 제공되기도 했다.
1990년대 후반, 인민무력부 산하에 로켓 부대가 창설되었다. 이 부대는 인민군의 다른 로켓 및 탄도 미사일 부대와 함께 1999년 '미사일지도국'으로 통합되었으며, 현재 7월 3일이 창설 기념일로 지정되어 있다. 2010년 3월 9일에는 사거리 3000km 이상의 중거리 탄도 미사일(IRBM)을 운용하는 사단이 창설되었다.[93]
미사일지도국은 2012년 3월 3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전략로케트군 사령부'를 시찰하면서 그 존재가 외부에 공식적으로 알려졌다. 김정은 위원장은 2012년 4월 15일 열병식부터 모습을 드러냈다.[91][92] 2013년 3월 5일 조선인민군 전략군 대변인 담화를 통해, 기존의 스커드, 노동, 무수단 미사일 여단을 통합하고 자동화 체계를 구축하며 '전략로케트군'을 '전략군'으로 확대 개편했다고 발표했다. 이 사실은 2014년 10월 12일 정보 소식통을 통해 대한민국 정부에 전달되었다.[94]
김정은 집권 이후 북한의 탄도 미사일 개발 및 시험 발사는 크게 증가했다. 2011년 12월 집권 이후 2016년 말까지 김정일 시대 전체보다 거의 3배 많은 42기의 탄도 미사일 발사를 시도했다. 여기에는 단거리 스커드형 미사일 20기(사거리 300km~1000km), 중거리 노동 미사일 10기(사거리 1300km~1500km), 중거리 화성 10호(무수단) 미사일 8기(사거리 3500km~4000km), 그리고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SLBM) 4기가 포함된다. 이러한 시험은 실전 배치된 미사일의 성능 확인, 실전 배치되었으나 시험 발사되지 않았던 무수단 미사일 시험, 그리고 북극성 계열 고체 연료 미사일과 같은 신형 미사일 개발 시험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5]
초기에는 북한이 공개한 장거리 미사일의 실제 능력에 대한 의구심도 있었다. 2012년 국제 연합과 독립 전문가들은 북한이 중거리 이상 미사일을 운용하지 않으며 열병식의 장거리 미사일은 모형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2012년 열병식에 등장한 KN-08과 2010년 공개된 무수단 미사일의 진위 여부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6][7][8][9]
그러나 2018년과 2019년에 이루어진 4종의 새로운 이동식 고체연료 단거리 탄도 미사일(SRBM) 시험 발사는 북한 미사일 능력의 질적 향상을 보여주었다. 이 미사일들은 발사 준비 시간이 짧아 탐지 및 발사 전 파괴가 어렵고, 일부는 낮은 고도로 비행하며 요격 회피 기동을 수행할 수 있어 기존 미사일 방어 체계를 돌파할 능력을 갖춘 것으로 평가된다. 당시 이와야 다케시 일본 방위상은 북한이 미사일 방어 시스템 돌파를 위해 저고도 불규칙 궤도 미사일을 개발한 것으로 보인다고 언급했다.[10] KN-23과 KN-24 같은 신형 미사일들은 기존 화성 계열보다 정교하며, 고도를 50km 미만으로 유지하여 패트리어트(최대 요격 고도 40km)와 THAAD 및 이지스(최소 요격 고도 50km)의 방어 공백을 파고들 수 있다. 또한 고체 연료 사용과 향상된 정확도로 더 위협적인 무기로 평가받는다.[11][12][13] 북한은 2018년에서 2020년 사이 미사일 여단 수를 8개에서 13개로 늘리며 양적 확장도 지속했다.[14]
북한은 개발한 탄도 미사일 기술과 완제품을 여러 국가에 수출해왔다. 이집트, 베트남, 이란, 리비아, 파키스탄, 시리아, 아랍에미리트 연합(UAE), 예멘 등이 북한으로부터 미사일이나 관련 부품을 구매했거나 현지 생산 지원을 받았다.[85][86] 최근에는 러시아에도 다양한 종류의 로켓을 수출한 것으로 파악된다. 2023년 말부터 우크라이나 공격에 북한산 미사일이 사용된 정황이 잔해 분석을 통해 드러났으며, 이는 북한에게 실전 데이터를 제공하고 핵 및 탄도 미사일 프로그램 자금 확보 기회가 되는 동시에, 평양에 부과된 국제 제재를 위반하는 행위이다.[87][88]
2. 1. 핵 개발
북한은 건국 초기부터 핵무기에 관심을 보였으나, 당시 핵 개발 능력을 갖춘 소련이나 중국 등 동구권 국가들은 핵무기 개발 협력에는 소극적이었다. 이들은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에 대해서는 협력했지만, 군사적 목적의 핵 개발 지원은 꺼렸다.본격적인 핵 개발은 한국 전쟁 휴전 이후 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56년 소련과 원자력 개발 협정을 맺고, 두브나 합동원자핵연구소에 과학자들을 파견했다. 또한 소련으로부터 소규모 연구용 원자로인 IRT-2000을 제공받아 영변 핵시설에 설치했다. 그러나 소련은 원자력 협력이 평화적 이용에 국한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핵무기 보유를 원했던 북한은 1964년 원자탄 개발에 성공한 중국에 지원을 요청했으나 거절당했다.
이후에도 북한은 핵 개발을 포기하지 않았다. 1980년대 들어 미국의 정찰 위성 사진 분석 등을 통해 평안북도 영변군에 새로운 원자로가 건설 중인 사실이 드러났다. 미국의 압력으로 북한은 핵확산 금지 조약 (NPT)에 가입하여 국제 원자력 기구 (IAEA)의 사찰을 받게 되었지만, 핵 개발 의혹은 계속되었다.
1986년 3월에는 영변에서 고성능 폭발 실험의 흔적으로 보이는 크레이터가 위성 사진으로 확인되었고, 이후 영변과 태천군에 대형 흑연 감속로가 건설되는 모습이 포착되면서 북한의 핵 개발은 국제적인 문제로 부상했다.
2003년 1월 10일, 북한은 미국의 군사적 위협을 이유로 들어 핵확산 금지 조약 제10조를 근거로 NPT 탈퇴를 통고했다. NPT 제10조에 따르면 탈퇴 통고 3개월 후 국제법상 조약의 구속에서 벗어나게 된다. 2005년 2월 10일에는 핵무기 보유를 공식 선언했으며, 2006년 10월 9일 첫 지하 핵실험을 감행하여 NPT 상의 '핵무기 보유국' 외에 사실상의 핵보유국이 되었다.
NPT 탈퇴와 관련하여, 미국은 북한의 NPT 의무에 대한 명확한 판단을 유보하고 있으며, NPT 운영 기관 역시 북한의 지위를 모호하게 두는 정치적 결정을 유지하고 있다.[6]
초기 원자폭탄인 리틀 보이(히로시마 투하)나 팻 맨(나가사키 투하)은 매우 거대했지만, 미국의 싱크탱크 우려하는 과학자 연맹의 전문가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의 기술적 한계 때문이며, 현재 북한의 기술 수준과 단순 비교하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지적한다.[7] 과학 국제 안보 연구소의 연구자들 역시 원자 폭탄의 소형화는 초기 설계 단계에서도 가능하다고 본다.[8][9]
3. 조직
전략군은 본래 미사일지도국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2012년 3월 3일 김정은이 당시 전략로켓군 사령부를 시찰하면서 그 존재가 북한 외부에 처음 알려졌다.[91][92] 김정은은 같은 해 4월 15일 열병식 때부터 전략로켓군을 참여시켰다. 북한은 2010년 3월 9일, 사거리 3000km 이상의 중거리 탄도 미사일(IRBM)을 도입한 후 이를 운용하는 사단을 창설하였다.[93]
2013년 3월 5일 조선인민군 전략군 대변인 담화에 따르면, 기존의 스커드, 노동, 무수단 미사일 여단을 자동화 체계를 위해 통합하고, 전략로켓군을 현재의 전략군으로 확대 및 개편한 것으로 전해졌다.[94] 전략군은 조선인민군의 산하 부대이며 조선인민군 총참모부에 직접 배속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다. 사령부는 평양 만경대구역에서 평안남도 성천군 백원리로 이전한 것으로 알려졌다.[95]
한국 언론 보도에 따르면, 사령부 산하에는 스커드 미사일, 노동 1호 이상급 미사일, 무수단 미사일 이상급 미사일(KN-08 포함)을 운용하는 3개의 미사일 사단(각각 제1, 2, 3벨트로 지칭되기도 함)이 편성되어 있다고 한다.[95] 또한,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 운용을 위한 4개의 전략기지와 이동식 발사대 운용을 위한 9개의 분소(연대-대대 중간급 또는 여단급)를 운영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95] 하위 부대로는 미사일 발사, 연료 주입, 경계 임무 등을 수행하는 대대들로 구성된 여단과, 미사일 운용 및 지원, 경비 등을 담당하는 중대들로 구성된 대대가 편성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95]
전략군은 다양한 발사 방식을 운용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 '''사일로 기반 발사''': 2013년 대한민국 정부 소식통은 중국 국경 근처 백두산 남쪽에 중·장거리 미사일용 사일로 단지가 있다고 보고했으나, 실제 운영 여부는 불분명하며 독립적으로 확인되지는 않았다.[31]
- '''고정 발사대''': 대포동 1호나 대포동 2호와 같이 발사 직전 연료 주입이 필요한 액체 추진 미사일은 고정 발사대가 필요하다. 이 방식은 발사 장소가 공습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지만, 다양한 미사일 시험 및 위성 발사에 사용될 수 있다.[95]
- '''이동식 발사 차량(TEL)''': 노동 1호나 화성 10호 등 다수의 미사일에 이동식 발사기를 광범위하게 사용하여 탐지를 어렵게 하고 생존성을 높인다.[95]
- '''잠수함/선박 기반 발사''': 조선인민군 해군은 아직 탄도 미사일 잠수함(SSB)을 실전 운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는 않다. 그러나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SLBM) 개발을 진행 중이며[32], 신포급 잠수함에서 미사일 발사에 성공한 바 있다.[33]
3. 1. 주요 미사일 기지

북한의 주요 미사일 기지는 다음과 같이 알려져 있다.
- '''무수단리''': 함경북도 화대군에 위치한 로켓 발사 기지로, 북위 40°51′ 동경 129°40′에 자리 잡고 있다. 동해 북쪽 끝 근처에 있으며, 과거 대포동(大浦洞)으로 알려졌던 지명에서 대포동 로켓의 이름이 유래되었다. 대포동 미사일 발사 기지로 사용된다.[95]
- '''깃대령''': 강원도 안변군에 위치하며(제81분소, 851군부대)[95], 대한민국과 가깝다. 단거리 및 중거리 미사일 발사에 사용되며, 이동식 발사대(TEL)를 위한 시설이 갖추어져 있다. 스커드 미사일 여단(제851스커트미사일여단)이 주둔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95]
- '''갈골동''': 자강도 전천군에 위치하며(제96분소, 제52기지)[95], 대한민국을 겨냥한 화성-5 및 화성-6 미사일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ICBM 운용 기지로도 분류된다.[95]
- '''방현 비행장''': 평안북도 구성시 백운리에 위치한 기지로[95], 주일 미군을 목표로 하는 노동 미사일을 운용하는 여단급 부대가 주둔하고 있다.
- '''옥평동''': 강원도 문천시에 위치하며, 화성 계열 및 노동 미사일을 보유하고 있다. 옥대령 지하기지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95]
- '''봉동리(동창리)''': 평안북도 철산군에 위치한 서해위성발사장을 지칭한다. 북한 서해안에 있으며, 북한-중국 국경에서 남쪽으로 약 50km 떨어져 있다.
- '''삭간몰 미사일 기지''': 황해북도 곡산군에 위치한 단거리 탄도 미사일 기지이다(제80분소).[15][95] 스커드-C 미사일과 이동식 발사대(TEL) 9대를 보유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95] 중부 전선을 담당한다.[95]
- '''지하리''': 강원도 이천군에 위치하며, 철원군 북쪽에 해당한다. 미사일 지원 시설이자 작전 발사 기지로, 화성 미사일 여단이 주둔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6][17][95]
- '''금천리''': 평안남도 증산군[95] 또는 강원도 안변군[18]에 위치하며, 화성-9(스커드-ER) 중거리 탄도 미사일(MRBM) 또는 IRBM을 갖추고 있다.[18][95]
- '''신계''': 황해북도 신계군에 위치하며, 지하리 기지 맞은편에 있다. 소규모 미사일 지원 시설이자 스커드-C 기지로, 1985년에 건설이 시작되었다.[19][17]
- '''신리''': 평양 순안 국제공항 인근에 위치한 미사일 지원 시설로, 2016년에서 2020년 사이에 건설되었다.[20]
- '''호도반도''': 함경남도 원산시 갈마반도 인근에 위치한 로켓 및 미사일 시험 시설이다. 1960년대에 설립되었으며, 2014년부터 2016년 사이에 현대화 작업이 이루어졌다.[21][95]
- '''회정리 미사일 기지''': 자강도 화평군 무명산에 위치한 북한의 최신 미사일 기지 중 하나로(제53기지)[95], 2012년에서 2013년경 건설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기지는 북한의 미사일 "전략 벨트" 내에 위치하여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을 배치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된다.[23][17]
- '''상남리''': 함경남도 허천군(제94분소)[95] 또는 덕성군[95]에 위치하며, 중거리 탄도 미사일(무수단급 추정)을 갖추고 일본을 담당하는 것으로 보인다.[24][95] 지하기지가 존재한다.[95]
- '''신포-마양''': 함경남도 신포시 마양도에 위치한 잠수함 기지이자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SLBM) 개발 시설이다.[95]
- '''신오리 미사일 기지''': 평안북도 운전군에 위치하며(제97분소)[95], 노동-1 중거리 탄도 미사일을 운용하는 연대 규모의 부대가 주둔하고 있다. 이동식 발사대(TEL) 9대와 미사일 40기를 보유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25][26][95]
- '''영저동''': 양강도 김형직군 청강읍에 위치한 기지로(제95분소)[95], 중국 국경과 가깝다.[28]
- '''마군포''': 고체 로켓 엔진 시험 시설이 위치한 곳이다.[29]
- '''잠진리''': 북한에서 가장 오래된 수직 엔진 시험대가 있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30]
이 외에도 원본 소스에 언급된 기지 및 시설은 다음과 같다.
기지/시설명 | 위치 | 비고 |
---|---|---|
제51기지 | 평안남도 은산군/대흥군 | 전략기지 (ICBM 운용 추정)[95] |
제54기지 | 평안북도 삭주군 | 전략기지 (ICBM 운용 추정)[95] |
제79분소 (사리원) | 황해북도 황주군/연탄군 | 노동급 미사일 운용 추정, 36개 발사대 보유 여단, 서부 전선 담당[95] |
제92분소 (용오동) | 함경남도 신흥군 용오동 | 노동급 미사일(무수단급 추정) 운용 추정, 동해안 담당[95] |
제93분소 (양덕) | 평안남도 양덕군/성천군 백운리 | 노동급 미사일(무수단급 추정) 운용 추정, 서해안/평양 담당, 사령부 주둔[95] |
평산 터골 | 황해북도 평산군 | 스커드-C 배치[95] |
리만리 | 자강도 전천군 남쪽 | 면적이 가장 넓은 미사일 기지[17] |
대관 | 위치 불명 | 미사일 기지 및 인근 미사일 제조 시설[17][27] |
유상리 | 평안남도 순천시 동쪽 28km | 최신 작전 기지 중 하나 (약 2003년 건설), 화성-13, 화성-14, 화성-15 보유 추정[22] |
용림 | 자강도 용림군 용림읍 | 이동식 미사일 차량 조립 시설 추정[95] |
상원 | 평양직할시 상원군 상원리 | 공군 제1사단 예하 지대공 미사일 기지[95] |
오류리 | 평양직할시 만경대구역 오류리 | 공군 제1사단 예하 지대공 미사일 기지[95] |
중화 | 평양직할시 중화군 | 공군 제1사단 예하 지대공 미사일 기지[95] |
화진리 | 평양직할시 평원군 화진리 | 공군 제1사단 예하 지대공 미사일 기지[95] |
풍계리 | 함경북도 길주군 | 여단급 부대 주둔 (핵실험장 인근)[95] |
또한, 전국 각지에 이동식 발사대 운용을 위한 소규모 기지들이 다수 산재해 있으며, 일부 대형 기지는 건설 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4. 보유 미사일
조선인민군 전략군은 다양한 종류의 탄도 미사일과 순항 미사일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북한의 핵심적인 군사력으로 평가받는다. 북한의 미사일 개발은 1960년대 소련과 중국으로부터 로켓포, 지대공 미사일(SAM), 대함 미사일 등을 도입하면서 시작되었다. 1970년대 들어 소련이 탄도 미사일 공급을 거부하자, 북한은 자체적인 미사일 개발 역량을 확보하기로 결정하고 중국과 DF-61 미사일 공동 개발을 추진하기도 했으나, 중국 내부 사정으로 1978년 중단되었다.[5]
1970년대 후반 또는 1980년대 초, 북한은 이집트로부터 소련제 R-17 엘브루스(스커드-B) 미사일을 확보하여 이를 역설계하는 방식으로 본격적인 탄도 미사일 개발에 착수했다.[5] 이를 통해 개발된 것이 화성 5호이며, 1984년 첫 비행 시험을 거쳐 1987년부터 양산에 들어갔다.[5] 이후 북한은 스커드 기술을 기반으로 사거리를 연장하고 성능을 개량한 화성 6호(스커드-C), 화성 7호(노동) 등을 개발하며 미사일 기술을 꾸준히 발전시켰다.[5] 특히 이란, 파키스탄 등과의 협력을 통해 미사일 개발 자금을 확보하고 기술 데이터를 공유하기도 했다.[5][20]
김정은 집권 이후 북한의 미사일 개발은 더욱 가속화되어, 2011년부터 2016년 말까지 42기의 탄도 미사일 시험 발사를 감행했다.[5] 이 시기에는 기존의 액체 연료 미사일뿐만 아니라, 발사 준비 시간을 단축하고 은닉성을 높일 수 있는 고체 연료 미사일 개발에도 집중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SLBM) 개발에도 착수하여 시험 발사에 성공하기도 했다.[32][33]
2018년 이후 시험 발사된 KN-23, KN-24 등 신형 단거리 탄도 미사일(SRBM)들은 북한 미사일 기술의 질적 향상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이 미사일들은 고체 연료를 사용하여 발사 준비 시간을 단축했으며, 낮은 고도로 비행하며 종말 단계에서 복잡한 회피 기동을 수행하여 미사일 방어 체계를 돌파할 능력을 갖춘 것으로 평가된다.[10][11][12][13] 이러한 기술 발전으로 2018년과 2020년 사이 북한의 미사일 여단은 8개에서 13개로 확장된 것으로 알려졌다.[14]
북한은 미사일 운용을 위해 다양한 발사 방식을 활용한다. 백두산 인근에 중·장거리 미사일용 사일로 단지가 존재한다는 보고도 있으나 확인되지는 않았다.[31] 대포동 1호나 대포동 2호와 같은 대형 액체 연료 미사일은 고정식 발사대에서 발사되지만, 이는 외부 공격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북한은 화성 7호, 화성 10호 등 주력 미사일 운용에 이동식 발사 차량(TEL)을 광범위하게 사용하여 탐지를 어렵게 하고 생존성을 높이고 있다. 또한 신포급 잠수함 등을 이용한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SLBM) 발사 능력도 개발 중이다.[32][33]
북한이 보유한 미사일의 정확한 수량은 기밀 사항으로 외부에 알려지지 않았으나, 여러 정보 기관 및 연구 기관에서 추정치를 발표하고 있다. 미국 국가 항공우주 정보 센터(NASIC)는 2009년 북한이 KN-02(독사), 화성 5호, 화성 6호 등 단거리 탄도 미사일 발사대 100기 미만과 화성 7호 발사대 50기 미만을 보유하고 있다고 평가했다.[35] 2015년 한 연구에서는 북한이 약 1,000기의 탄도 미사일을 보유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36]
대한민국 국군은 2016년 북한이 미사일 기지를 지리적으로 구분하여 운용하는 것으로 분석했다. 한국 비무장 지대(DMZ) 인근에는 주로 단거리 미사일이, 더 북쪽 지역에는 중거리 미사일이, 그리고 내륙 깊숙한 곳에는 중장거리 미사일 및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이 배치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39][40] 2017년 기준으로 북한은 약 900기의 단거리 탄도 미사일(SRBM)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기도 했다.[41]
조선인민군 전략군은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 준장거리 및 중거리 탄도 미사일(IRBM), 준중거리 탄도 미사일(MRBM), 단거리 탄도 미사일(SRBM),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SLBM), 순항 미사일 등 다양한 종류의 미사일을 개발 및 보유하고 있으며, 각 미사일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1.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은 조선인민군 전략군이 운용하는 핵심 전략 무기 체계 중 하나이다. 현재까지 알려진 북한의 ICBM은 다음과 같다.미사일 | 사거리 | 탄두 정보 | 수량 | 비고 |
---|---|---|---|---|
화성-14형 | 10,000 km 이상 | 단탄두 수소폭탄 탑재 추정 | 6+ (화성-14/-15/-15 개량 1/-18 포함)[45] | 2017년 7월 성공적으로 시험 발사.[42] |
화성-15형 | 13000km[43] | 다탄두 혹은 초대형 핵탄두 추정 | 2017년 11월 성공적으로 시험 발사.[44] | |
화성-15 개량 1 | 알려지지 않음 | 다탄두 혹은 초대형 핵탄두 추정 | [45] | |
화성-17 개량 1 | 13,000 km 이상[43] | 다탄두 혹은 초대형 핵탄두 추정 | 11+[45] | 2022년 3월 성공적으로 시험 발사.[46] |
화성-18형 | 15000km[43] | 알려지지 않음 | 6+ (화성-14/-15/-15 개량 1/-18 포함)[45] | 2023년 4월 성공적으로 시험 발사.[47] 북한 최초의 고체 연료 ICBM.[45] |
화성-19형 | 18000km[48] | 알려지지 않음 | 2024년 10월 성공적으로 시험 발사.[49] | |
화성-13형 | 미확인 | 단탄두 추정 | 알려지지 않음 | 시험되지 않았고 개발이 취소된 것으로 추정됨.[45] |
4. 2. 준장거리 및 중거리 탄도 미사일(IRBM)
- 화성-12: 사거리는 약 5000km에서 6000km 사이로 평가되는[50] 중거리 탄도 미사일(IRBM)이다. 개량형인 화성-12 개량 1[45]을 포함하여 10기 이상 보유한 것으로 추정된다.[45]
- 화성-10 (다른 이름: 무수단): 사거리가 3500km 이하로 추정되는 IRBM이다. 대한민국 국군은 2016년 기준으로 북한이 한국 비무장 지대(DMZ) 북쪽 90km에서 120km 지점에 위치한 미사일 벨트에 30~50기의 화성-10과 30기의 이동식 발사대(TEL)를 보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했다.[40]
- 화성-16b: 2024년 4월 시험 발사에 성공한 고체 연료 기반의 IRBM이다.[75][76] 사거리는 600km에서 650km 정도로 평가된다.[76]
4. 3. 준중거리 탄도 미사일(MRBM)
조선인민군 전략군이 보유한 준중거리 탄도 미사일(MRBM)은 사거리 1000km에서 3000km 사이의 탄도 미사일을 의미하며, 한반도 전역과 일본 등 주변국을 사정권에 둔다. 주요 미사일로는 화성-7(노동 미사일), 북극성-2, 스커드-ER(화성-9) 등이 있다.미국 국가 항공우주 정보 센터(NASIC)는 2009년 보고서에서 북한이 화성-7 발사대를 50기 미만 보유하고 있다고 평가했다.[35] 2015년의 한 연구에서는 북한이 약 300기의 화성-7 미사일을 보유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하기도 했다.[38] 대한민국 국군은 2016년 기준으로 한국 비무장 지대(DMZ) 북쪽 90–120km 지점에 위치한 두 번째 미사일 벨트에 사거리 약 1300km인 노동 미사일(화성-7) 200~300기와 이동식 발사대(TEL) 30기를 배치한 것으로 파악했다.[40]
주요 준중거리 탄도 미사일 목록은 다음과 같다.
미사일 | 원산지 | 사거리 | 추정 수량 | 비고 |
---|---|---|---|---|
화성-7 | 북한 | 900km[6]–1500km[36] | 10기 이상 추정[45] | 흔히 노동으로 알려짐.[34][6] 일부 자료에서는 최대 2000km 이하로 추정. 2015년 추정 300기 보유.[38] 2016년 추정 200~300기 배치.[40] |
북극성-2 | 북한 | 1200km[51] | 7기 이상[45] | 고체 연료 사용. 화성-7이 배치된 미사일 기지와 북부 국경 지역에 작전 배치된 것으로 알려짐.[52] |
스커드-ER | 소련 / 북한 | 1000km[53][54][55] | 일부[45] | 화성-9로도 불림. 최근 새로운 유도 및 전자 장치로 성능이 개량된 것으로 보임.[52] |
4. 4. 단거리 탄도 미사일(SRBM)
단거리 탄도 미사일(SRBM)은 조선인민군 전략군의 주요 타격 수단 중 하나이다. 북한은 1970년대 후반 또는 1980년대 초 이집트로부터 소련제 R-17 엘브루스(스커드-B) 미사일을 도입한 것을 시작으로 SRBM 개발에 착수했다.[5]=== 화성 5호 및 화성 6호 ===
북한은 도입한 R-17을 역설계하여 화성 5호(스커드-B)를 개발했으며, 1984년 비행 시험을 시작했다.[5] 1985년에는 이란에 화성 5호를 공급했으며, 이란-이라크 전쟁의 도시 전쟁에서 사용되며 작전 데이터를 확보했다. 이 과정에서 여러 차례 발사 실패를 겪기도 했으나, 1985년 이란과의 협력 협약을 통해 미사일 개발 자금을 지원받았을 가능성이 제기된다.[5] 화성 5호는 1987년부터 양산에 들어갔다.[5] 이후 스커드 기술을 확장하여 화성 6호(스커드-C)를 개발했다.[5]
2016년 대한민국 국군은 북한이 한국 비무장 지대(DMZ) 북쪽 약 50km ~ 90km 지역에 형성된 첫 번째 미사일 벨트에 사거리 300km ~ 700km의 스커드 계열 미사일(화성 5호, 화성 6호 등) 500~600기를 약 40기의 이동식 발사대(TEL)와 함께 배치한 것으로 파악했다.[39] 2017년 추산에 따르면 북한은 약 900기의 SRBM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41]
북한은 화성 5호와 6호를 기반으로 성능을 개량한 미사일도 개발했다.
- '''KN-21''': 화성 5호 기반으로 기동 기능을 추가한 변형으로, 사거리는 250km 이상이다. 2017년 4월 시험 발사되었다.[79]
- '''KN-18''': 화성 6호 기반으로 기동형 재진입체(MaRV)를 탑재한 변형으로, 사거리는 450km 이상이다. 2017년 5월 시험 발사되었다.[77][78]
=== 스커드-ER ===
스커드-ER (화성-9)은 기존 스커드 미사일의 사거리를 1000km까지 늘린 개량형이다.[53][54][55] 최근에는 새로운 유도 및 전자 장치로 성능이 향상된 것으로 평가된다.[52]
=== 신형 고체연료 SRBM ===
김정은 집권 이후 북한의 미사일 개발은 더욱 가속화되었으며, 특히 2018년과 2019년에 시험 발사된 4종의 새로운 이동식 고체연료 SRBM은 북한 미사일 기술의 질적 향상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받는다.[10] 이 신형 미사일들은 발사 준비 시간이 짧아 탐지 및 선제 타격이 어렵고, 일부는 낮은 고도로 비행하며 종말 단계에서 복잡한 회피 기동을 수행하여 미사일 방어 체계를 돌파할 능력을 갖춘 것으로 분석된다.[10][11][12][13]
- '''KN-23 (화성-11가형)''': 러시아의 9K720 이스칸데르나 한국의 현무-2와 유사한 외형을 가졌으며, 사거리는 240km에서 최대 800km에 달한다.[59][60][61][62][63] 풀업 기동(pull-up maneuver) 등 회피 기동 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고도를 50km 미만으로 유지하여 패트리어트(40km 이하)와 THAAD 및 이지스 BMD(50km 이상)의 요격 고도 사이를 비행할 수 있다.[11][12][13] 2019년 여러 차례 시험 발사되었고, 2021년 9월에는 열차 발사형이 공개되기도 했다.[72] 개량형인 화성-11다형(KN-23 개량 1)과 화성-11라형(KN-23 개량 2)도 개발되어 시험 중이다.
- '''KN-24 (화성-11나형)''': 미국의 MGM-140 ATACMS와 유사한 외형이지만 크기가 더 크고, 비행 전 구간에서 공기역학적 제어를 위한 후방 날개가 달려 있다.[73][74] 사거리는 410km이며, 2019년 8월과 2020년 3월에 시험 발사되었다.[73][74] KN-23과 마찬가지로 저고도 비행 및 회피 기동 능력을 갖춘 것으로 평가된다.
- '''KN-25''': 북한은 '초대형 방사포'라고 부르지만, 미국 정보 당국은 유도 기능을 갖춘 단거리 탄도 미사일(SRBM)로 분류한다.[80] 사거리는 380km에 달하며, 4~6개의 발사관을 탑재한 이동식 발사 차량(궤도형 또는 차륜형)에서 운용된다. 궤도형 섀시 30대와 트럭 섀시 9대가 제작되어 총 216기의 유도 로켓을 운용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81]
=== 기타 SRBM ===
- '''화성-8''': 2021년 9월 처음 시험 발사된 극초음속 활공 비행체(HGV) 탑재 미사일로 추정되며, SRBM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현재 시험 개발 단계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
- '''KN-02 (독사)''': 소련의 OTR-21 토치카를 기반으로 개발된 고체연료 SRBM이다. 2009년 미국 국가 항공우주 정보 센터(NASIC)는 북한이 화성-5/6과 토치카 발사대를 100기 미만 보유하고 있다고 보고했으며,[35] 2015년 연구에서는 KN-02를 약 100기 보유한 것으로 추정했다.[36][37]
=== 보유 현황 (추정) ===
북한이 보유한 SRBM의 정확한 수량은 확인되지 않았으나, 여러 기관 및 전문가들의 추정치는 다음과 같다.
미사일 | 유형 | 원산지 | 사거리 | 보유량 (발사대) | 비고 |
---|---|---|---|---|---|
화성-5 (스커드-B) | 단거리 탄도 미사일(SRBM) | 북한 | 340km[58] | 30+ 발사대 | R-17 엘브루스 역설계 개발. |
화성-6 (스커드-C) | SRBM | 북한 | 500km[6] | 화성 5호 기반 개량. | |
스커드-ER (화성-9) | SRBM | 소련/북한 | 1000km[53][54][55] | 일부[45] | 최근 새로운 유도 및 전자 장치로 업그레이드.[52] |
화성-8 | SRBM | 북한 | 불명 | 1+ 발사대 | 시험 중. 극초음속 활공 비행체(HGV) 탑재 추정. |
화성-11가형 (KN-23) | SRBM | 북한 | 240km~800km[59][60][61][62][63] | 17+ 발사대 | 9K720 이스칸데르 또는 현무-2와 유사하며, 2017년 8월 시험 발사.[64][65][66][67] 2019년에는 5월, 7월, 8월에 미사일 시험을 실시했다.[68][69][70][71] 2021년 9월, 처음으로 철도 차량에서 발사됨.[72] |
화성-11나형 (KN-24) | SRBM | 북한 | 410km[73] | 9+ 발사대 | MGM-140 ATACMS와 유사하지만 더 크고, 전체 비행에 걸쳐 공기역학적 제어를 유지하기 위해 후방 핀이 있음. 2019년 8월과 2020년 3월에 시험 발사.[73][74] |
화성-11다형 (KN-23 개량 1) | SRBM | 북한 | 불명 | 6+ 발사대 | 시험 중. |
화성-11라형 (KN-23 개량 2) | SRBM | 북한 | 불명 | "일부" 발사대 | 시험 중. |
KN-18 | SRBM | 북한 | 450km+ | 불명 | 기동형 재진입체(Maneuverable reentry vehicle)를 탑재한 스커드-C 변형. 2017년 5월 시험 발사.[77][78] |
KN-21 | SRBM | 북한 | 250km+ | 불명 | 기동 기능을 갖춘 스커드-B/화성-5 변형. 2017년 4월 시험 발사.[79] |
KN-25 | SRBM/MLRS | 북한 | 380km | 39 (궤도 30, 차륜 9)[81] | "초대형 다연장 로켓 발사기", 미국 평가에서는 SRBM으로 간주. [80] 30대의 궤도 섀시와 9대의 트럭 섀시가 총 216개의 유도 로켓을 위해 제작된 것으로 알려짐.[81] |
KN-02 (독사) | SRBM | 북한 (소련 기술 기반) | 120km ~ 170km (추정) | 약 100기 (2015년 추정)[36][37] | OTR-21 토치카 기반 개발. |
- '''주''': 보유량은 미사일 기수 또는 발사대 수량을 의미하며, 출처 및 시점에 따라 다를 수 있음. 일부 미사일의 정확한 제원 및 보유량은 공개되지 않음.
4. 5.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SLBM)
- 북극성 1호: 사거리 1500km
- 북극성 3호: 사거리 2000km ~ 2500km
4. 6. 순항 미사일
4. 7. 탄두
조선인민군 전략군의 미사일은 대량살상무기를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탄두를 탑재할 수 있다.핵무기의 경우, 최대 3기의 로동 1호 미사일에 핵탄두가 장착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82] 초기 중국의 핵 운용 방식과 유사하게, 핵무기는 평시에 미사일과 분리되어 별도로 보관하며 최고사령관(김정은)의 명령이 내려진 후에야 미사일에 장착될 것으로 추정된다. 과거 일부에서는 북한이 미사일에 탑재할 만큼 충분히 소형화된 핵탄두를 개발하지 못했을 것이라는 분석도 있었지만, 2009년 4월 보고서 등에서는 북한이 이미 미사일 탑재가 가능한 수준으로 소형화된 핵탄두를 개발했을 가능성을 시사했다.[83] 현재로서는 여러 차례 성공적으로 시험 발사된 로동 1호 미사일이 핵탄두 운반에 가장 적합한 수단으로 평가받는다.
북한은 상당량의 화학 무기를 비축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여기에는 타분, 사린, 소만, VX 가스 등 강력한 신경작용제가 포함된다. 생물학 무기 비축량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알려진 정보가 거의 없다. 생물학 무기는 통제 및 사용의 위험성이 매우 높아 자국 군인에게도 위협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그 보유량은 제한적일 것으로 추정된다.
미사일 탄두의 대기권 재진입체 기술과 관련하여, 북한은 아직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에 탑재하여 목표까지 무기를 정확하게 유도할 수 있는 정밀 재진입체 개발 능력을 완전히 입증하지는 못했다.[84] 그러나 기술적으로 덜 정교하고 정확도가 낮은 초기 형태의 재진입체는 이미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36] 한편, 북한은 대한민국과 주한미군의 탄도 미사일 방어 시스템, 예를 들어 THAAD와 같은 체계의 요격 능력을 회피하고 공격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 스커드 계열 단거리 탄도 미사일의 탄두에 기동형 재진입체(MaRV) 기능을 탑재하는 개량을 진행해 온 것으로 보인다.[41]
5. 국제사회의 대응과 비판
국제사회는 북한의 미사일 기술 확산을 심각하게 우려하고 있다. 이집트, 베트남, 이란, 리비아, 파키스탄, 시리아, 아랍에미리트 연합(UAE), 예멘 등 다수의 국가가 북한으로부터 탄도 미사일이나 관련 부품을 구매했거나, 미사일 자체 생산을 위해 북한의 기술 지원을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85][86]
특히 북한은 러시아에도 다양한 종류의 로켓을 수출한 것으로 파악된다. 2023년 말부터 우크라이나 공격에 북한산 미사일이 사용된 정황이 잔해 분석을 통해 드러났는데, 이는 북한에게 실전 데이터를 통한 미사일 성능 시험 기회를 제공하는 동시에 핵 및 탄도 미사일 프로그램 개발 자금 확보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이러한 무기 거래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평양에 부과한 각종 제재를 명백히 위반하는 행위로 국제적인 비난을 받고 있다.[87][88]
5. 1. 비핵화 합의와 불이행
북한은 2003년 1월 10일, 미국의 군사적 위협을 이유로 들어 핵확산 금지 조약(NPT) 제10조를 근거로 NPT 탈퇴를 통고했다. 이후 2005년 2월 10일, 공식적으로 핵무기 보유를 선언하였으며, 2006년 10월 9일에는 지하 핵실험을 실시함으로써 NPT에서 정의한 "핵무기 보유국" 외의 사실상 핵보유국이 되었다.NPT 탈퇴와 관련하여, 조약 제10조에는 탈퇴 조항이 명시되어 있으며, 국제법상으로는 탈퇴 통고 후 3개월이 지나면 효력이 발생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에 따라 북한은 국제법적으로 NPT의 구속에서 벗어났다고 주장할 수 있다.
그러나 미국은 북한의 NPT 상 의무에 대해 명확한 판단을 내리지 않고 있으며, NPT 운영 기관에서도 의장이 북한의 네임 플레이트를 "보관"하는 방식으로 북한의 지위를 모호하게 남겨두는 이례적인 정치적 판단을 지속하고 있다.[6] 이는 북한의 핵 지위를 둘러싼 국제 사회의 복잡한 상황을 보여준다.
5. 2. 대화와 제재의 딜레마
북한은 2003년 1월 10일, 미국의 군사적 위협을 이유로 들어 핵확산 금지 조약(NPT) 제10조를 근거로 NPT 탈퇴를 통고했다. 그리고 2005년 2월 10일, 공식적으로 핵무기 보유를 선언하고, 2006년 10월 9일에 지하 핵실험을 실시함으로써 당 조약상 정의된 "핵무기 보유국" 이외의 사실상의 핵보유국이 되었다.NPT 탈퇴에 관해서는, 동 조약의 제10조에 탈퇴 조항이 존재하며, 국제법상 통고 후 3개월 후에 효력이 발생한다고 해석되기 때문에, 국제법상으로는 당 조약상의 구속을 받지 않게 된다.
그러나 미국은 북한의 NPT 상 의무에 대해 판단하지 않는 입장을 취하고 있으며, NPT 운영 기관에서도 의장이 북한의 네임 플레이트를 "보관"하는 것으로 북한의 입장을 모호하게 해두는 이례적인 정치적 판단이 지속적으로 채택되고 있다.[6]
6. 역대 전략사령관
- 김략겸[96]
- 김정길
참조
[1]
웹사이트
North Korean military takes oath of loyalty
https://www.enca.com[...]
[2]
뉴스
North Korea promotes unknown general to oversee missile development
https://www.upi.com/[...]
UPI
2020-10-14
[3]
웹사이트
Kim Jong Un Guides Strategic Ballistic Rocket Launching Drill of KPA Strategic Force
https://kcnawatch.or[...]
2017-08-30
[4]
웹사이트
Kim Jong-un Makes 1st Public Speech
http://english.chosu[...]
[5]
웹사이트
Internal Server Error
http://www.janes.com[...]
[6]
보고서
Characterizing the North Korean Nuclear Missile Threat
https://www.rand.org[...]
RAND Corporation
2013-01-19
[7]
웹사이트
BBC News - New ICBM missiles at North Korea parade 'fake'
https://www.bbc.co.u[...]
Bbc.co.uk
2012-04-27
[8]
웹사이트
U.N. Report Suggest N. Korean Parade Missiles Possibly Fakes | Defense News
http://www.defensene[...]
defensenews.com
2012-10-05
[9]
뉴스
North Korean missiles dismissed as fakes - World - CBC News
https://www.cbc.ca/n[...]
Cbc.ca
2012-04-26
[10]
보고서
Missile diplomacy: North Korea enhances tactical weapons as nuclear talks stall
https://www.janes.co[...]
IHS
2019-09-17
[11]
간행물
North Korea’s Newest Ballistic Missile: A Preliminary Assessment
https://www.38north.[...]
38 North
2019-05-08
[12]
간행물
Putting North Korea’s New Short-Range Missiles Into Perspective
https://www.38north.[...]
38 North
2019-09-05
[13]
간행물
North Korea’s New Short-Range Missiles: A Technical Evaluation
https://www.38north.[...]
38 North
2019-10-09
[14]
웹사이트
S. Korean Defense Ministry Releases 2020 White Paper
https://world.kbs.co[...]
[15]
뉴스
Undeclared North Korea: The Sakkanmol Missile Operating Base
https://beyondparall[...]
2018-11-12
[16]
웹사이트
Chiha-ri Missile Base
https://www.nti.org/[...]
2003-04-01
[17]
웹사이트
Missile Bases & Major Underground Sites
https://mynorthkorea[...]
2019-10-23
[18]
뉴스
Undeclared North Korea: The Kumchon-ni Missile Operating Base
https://beyondparall[...]
2019-09-06
[19]
웹사이트
Shin'gye Missile Base
https://www.nti.org/[...]
2003-03-01
[20]
웹사이트
Sil-li Ballistic Missile Support Facility
https://beyondparall[...]
2020-05-05
[21]
웹사이트
North Korea's Hodo Peninsula Training Area
https://www.38north.[...]
2016-08-05
[22]
웹사이트
Undeclared North Korea: The Yusang-ni Missile Operating Base
https://beyondparall[...]
2019-05-09
[23]
뉴스
North Korea Is Expanding Missile Base With Eye Toward U.S., Experts Warn
https://www.nytimes.[...]
2018-12-06
[24]
뉴스
Undeclared North Korea: The Sangnam-ni Missile Operating Base
https://beyondparall[...]
2019-02-15
[25]
웹사이트
The Sino-ri Missile Operating Base and Strategic Force Facilities
https://beyondparall[...]
2019-01-21
[26]
웹사이트
Undeclared North Korea: The Sino-ri Missile Operating Base and Strategic Force Facilities
https://beyondparall[...]
2019-01-21
[27]
웹사이트
No. 301 Factory
https://www.nti.org/[...]
2003-03-01
[28]
웹사이트
North Korean Missile Base at Yeongjeo-dong
https://www.armscont[...]
2018-12-06
[29]
웹사이트
December 2019 Update: The Magunpo Solid Rocket Motor Test Facility
https://beyondparall[...]
2019-12-13
[30]
웹사이트
December 2019 Update: Chamjin-ni Vertical Engine Test Stand
https://beyondparall[...]
2019-12-19
[31]
뉴스
North digs silos for missiles in Mt. Paektu area
http://koreajoongang[...]
Korea JoongAng Daily
2013-10-10
[32]
뉴스
North Korea: Test Stand for Vertical Launch of Sea-Based Ballistic Missiles Spotted
http://38north.org/2[...]
U.S.-Korea Institute, Johns Hopkins University School of Advanced International Studies
2014-10-28
[33]
뉴스
North Korea fires submarine-launched ballistic missile towards Japan
https://www.reuters.[...]
2016-08-24
[34]
웹사이트
Twitter
https://mobile.twitt[...]
[35]
보고서
Ballistic and Cruise Missile Threat
http://www.fas.org/p[...]
Air Force Intelligence, Surveillance and Reconnaissance Agency
2009-04
[36]
보고서
The Future of North Korean Nuclear Delivery Systems
http://38north.org/w[...]
US-Korea Institute at SAIS
2015-04-30
[37]
뉴스
N. Korea has 100 KN-02 missiles with extended range
http://english.yonha[...]
Yonhapnews.co.kr
2014-03-05
[38]
뉴스
Around 70% of N.K. missiles target S. Korea
http://www.koreahera[...]
Koreaherald.com
2013-03-04
[39]
웹사이트
Yonhapnews Agency - Mobile
http://m.yna.co.kr/m[...]
2017-10-31
[40]
웹사이트
Yonhapnews Agency - Mobile
http://m.yna.co.kr/m[...]
2017-10-31
[41]
웹사이트
Introducing the KN21, North Korea's New Take on its Oldest Ballistic Missile
https://thediplomat.[...]
[42]
뉴스
North Korea hails 'ICBM test' success
https://www.bbc.com/[...]
BBC News
2017-07-04
[43]
웹사이트
North Korea's Longest Missile Test Yet
http://allthingsnucl[...]
2017-11-28
[44]
웹사이트
North Korea's upgraded missile has a new name
http://www.businessi[...]
2017-11-29
[45]
서적
The Military Balance 2024
Routledge
2024-02-13
[46]
웹사이트
North Korea launches Hwaseong-17 ICBM
https://www.janes.co[...]
2022-03-25
[47]
웹사이트
New ICBM could make it easier for North Korea to launch nuclear strike, analysts say
https://www.cnn.com/[...]
2023-04-14
[48]
웹사이트
Third Successful Launch of North Korea’s Hwasong-18 Solid ICBM Probably Marks Operational Deployment
https://www.38north.[...]
38north
2024-10-07
[49]
웹사이트
Hwasong-19 ICBM
https://armyrecognit[...]
2024-11-02
[50]
웹사이트
北 "신형 중장거리미사일 발사 성공"…김정은 "美본토 타격권"(종합)
http://www.yonhapnew[...]
2017-07-03
[51]
간행물
The Pukguksong-2: A Higher Degree of Mobility, Survivability and Responsiveness
https://www.38north.[...]
38 North
2017-02-13
[52]
웹사이트
S/2019/691 - e - S/2019/691 -Desktop
https://undocs.org/e[...]
[53]
웹사이트
Yonhapnews Agency - Mobile
http://m.yna.co.kr/m[...]
2017-11-20
[54]
웹사이트
North Korea Launches Four Missiles "Simultaneously"
http://allthingsnucl[...]
2017-03-06
[55]
웹사이트
North's Scud-ER can reach U.S. base in Japan-INSIDE Korea JoongAng Daily
http://mengnews.join[...]
[56]
간행물
North Korea’s Fifth and Sixth Rounds of January Missile Launches
https://www.38north.[...]
38 North
2022-01-31
[57]
웹사이트
(LEAD) N. Korean leader inspects long-range cruise missile launches by 'tactical nuke' units
https://en.yna.co.kr[...]
2022-10-13
[58]
웹사이트
Hwasong 5
http://www.astronaut[...]
[59]
웹사이트
New N.Korean Missile Poses Fresh Threat
http://english.chosu[...]
2019-03-04
[60]
뉴스
North Korea's Newest Missile Appears Similar to Advanced Russian Design
https://www.npr.org/[...]
2019-05-08
[61]
웹사이트
North Korea Fired at Least One Unidentified Projectile, South Korea Says
https://finance.yaho[...]
2019-05-09
[62]
웹사이트
(News Focus) New ballistic missile poses fresh security challenges to S. Korea and beyond: Experts
https://en.yna.co.kr[...]
2019-07-26
[63]
웹사이트
"[2보] 북한 \"철도기동미사일연대 검열사격훈련\"…김정은 불참"
https://www.yna.co.k[...]
2021-09-16
[64]
웹사이트
New N.Korean Missile Resembles S.Korea's Hyunmu
http://english.chosu[...]
2019-03-04
[65]
웹사이트
Did NK steal S. Korean missile design?
http://www.koreahera[...]
2018-02-21
[66]
웹사이트
North Korea's Army Day Military Parade: One New Missile System Unveiled
https://www.38north.[...]
2018-02-08
[67]
뉴스
North Korea stages show of force with new missiles during parade
https://www.reuters.[...]
2018-02-09
[68]
웹사이트
Janes | Latest defence and security news
https://www.janes.co[...]
[69]
웹사이트
'Three SRBMS launched by N. Korea,' USFK concludes
http://www.donga.com[...]
[70]
간행물
KN-23
https://missilethrea[...]
Center for Strategic and International Studies
[71]
웹사이트
KN-23
https://missiledefen[...]
[72]
웹사이트
North Korea tested new train-launched ballistic missile system: state media
https://www.nknews.o[...]
2021-09-15
[73]
뉴스
Preliminary Assessment of the KN-24 Missile Launches
https://www.38north.[...]
The Henry L. Stimson Center
2020-04-01
[74]
웹사이트
"[News analysis] N. Korea completes development of new troika of ground-to-ground weaponry"
http://english.hani.[...]
[75]
웹사이트
North Korea says it tested a new hypersonic intermediate-range missile that's easier to hide
https://apnews.com/a[...]
2024-04-02
[76]
웹사이트
North Korea aims to adopt solid-fuel missiles for faster launches
https://www.japantim[...]
2024-04-03
[77]
웹사이트
KN-18 (Scud MaRV)
https://missilethrea[...]
[78]
웹사이트
KN-18 – Missile Defense Advocacy Alliance
https://missiledefen[...]
[79]
웹사이트
KN-21 – Missile Defense Advocacy Alliance
https://missiledefen[...]
[80]
웹사이트
U.S. Military code-names N. Korea's 'super-large multiple rocket launcher' KN-25
http://www.donga.com[...]
[81]
웹사이트
Update on the DPRK's 600 mm Multiple Launch Rocket System | Open Nuclear Network
https://opennuclear.[...]
[82]
웹사이트
The North Korean Plutonium Stock Mid-2006
http://www.isis-onli[...]
2012-10-09
[83]
뉴스
North Korea is fully fledged nuclear power, experts agree
http://www.timesonli[...]
2009-04-24
[84]
간행물
Military and Security Developments Involving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http://www.defense.g[...]
U.S. Department of Defense
2013-05-23
[85]
웹사이트
IISS report
http://www.iiss.org/[...]
Iiss.org
2012-03-01
[86]
서적
Asian Strategic And Military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Lancer Publishers
[87]
웹사이트
DIA report confirms North Korean Missile Debris Found in Ukraine
https://www.dia.mil/[...]
2024-08-27
[88]
웹사이트
UN monitors say North Korean missile struck Ukraine’s Kharkiv
https://www.aljazeer[...]
2024-08-27
[89]
웹사이트
North Korean military takes oath of loyalty
https://www.enca.com[...]
[90]
뉴스
〈北미사일 발사〉 北,800기 미사일 보유…발사 기지 12개 넘어
http://news.kukinews[...]
쿠키뉴스
2006-07-05
[91]
뉴스
대포동 발사, 김정일 직접 지시
http://article.joins[...]
중앙일보
2014-10-13
[92]
뉴스
김일성 흉내내며 '김정일의 말' 한 김정은[北 김정은 첫 대중연설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12-04-16
[93]
뉴스
北, 美증원군 겨냥 중거리미사일 사단 창설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4-10-15
[94]
뉴스
"北, 미사일전력 통합.자동화…김정은 명령 신속수행"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4-10-13
[95]
뉴스
"[北 로켓발사 실패 이후]체면 구긴 北, ICBM 전격 공개 '시위'"
https://news.v.daum.[...]
2018-08-21
[96]
문서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